6월 16일 생성 인공지능 관련 소식 도착 June 16, 2023 따끈따끈한~ SoupLetter ♨️ |
|
|
"인공지능용 GPU 👑대장 자리를 노리는 자 누구인가?!"
바로, Lisa Su가 이끄는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AMD 입니다.
AMD에서 만든 칩 도입을 아마존과(AWS)논의중이라는 소식에, 엔비디아 중심인 AI 반도체 시장 구도에 변화가 기대되고 있어요.
* 엔비디아: 현재 AI 반도체시장의 90%이상을 독점하는 미국의 GPU 공룡기업
기사: '클라우드 1위' AWS, AMD AI칩 탑재 검토…엔비디아 독점 체제 흔들까 (링크)
새로운 맥킨지 리포트, 생성 AI덕에 세계 경제규모는 장및빛🌹 전망이래요
Mckinsey Global Institute는 6월 14일, 생성 AI가 가진 경제적 잠재성과 업무 효율성을 다룬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생성 인공지능이 세계경제에 연간 (최대) 5610조원 이상의 가치를 불러올 것이라고 해요. 기존 업무시간의 60-70%를 단축시키는 GenAI의 효율성 측면에 리포트는 집중했어요. 단, 로보틱스를 통한 육체적 노동의 대체보다도 '화이트 칼라' 업종, 즉 지식 기반 업무와 창작 업무가 먼저 대체되는 것을 더 유의해야 한다고 합니. GenAI 활용 양상이 다양해짐에 따라 '프롬프터' 같은 새로운 직업이 주목받기도 하죠. 우리는 이러한 생성 AI가 주도하는 변화를 인지하고, 효율성을 챙기되, 필요하다면 또다른 기술을 습득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절히 대응해야 할 거예요. 💪
기사: McKinsey report finds generative AI could add up to $4.4 trillion a year to the global economy (링크) & 매킨지 "생성형 AI, 세계 경제 규모 연 5610兆 확대" (링크)
'메타버스'바라기 저커버그, "메타 전반적 제품에 생성 AI 추가요~"🙋
6월 8일, Meta 직원회의에서 CEO는 VR과 AI의 접목 비전과 예시를 다뤘어요
페이스북이나 우리가 자주 쓰는 인스타그램에 생성 AI기술도 적용한다면 어떤 활동들이 가능할까요? 셀피를 인스타 스토리에 공유하기 전에 프롬프트로 직접 사진 일부를 수정할수도 있고요,(Goyo?) 재미있는 인격을 가진 AI 챗봇이랑 왓츠앱에서 바로 이야기하는것도 이번 예시를 통해 가능해질 것으로 보여요. 현 메타의 컨슈머 페이싱 제품들에 GenAI도 한스푼씩 더하겠다는 저커버그의 비전! 지켜봐주세요.기사: Meta previews generative AI tools coming to WhatsApp, Messenger and Instagram, plus internal AI tools (링크)
오픈소스 AI 음악 생성기 Music Gen으로 🎼12초 음악 만들어볼까요? 👏
원하는 스타일을 자연어로 입력하면 음악 생성이 뚝딱! 약 2만 시간 분량의 음악 데이터를 학습했다는 메타의 뮤직젠, 저작권 침해 문제가 없도록 해당 학습 과정은 ShutterStock 및 Pond5와 협업했어요. 허깅페이스 웹에서 12초 분량의 생성 음악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먼저 출시된 Google의 MusicLM과 어떤 차이가 있을지 궁금하실텐데요. ('메타 뮤직젠 음악 생성이 구글의 것보다 좀 더 뛰어나다'는 의견도 해외 미디어에서 일부 보였어요.) MusicLM은 사용해보려면 wait-listing을 거쳐야 해서, 일반 유저 모두가 테스트 해 볼 수 없기에 사용성 우위를 가리는 것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사: AI 음악 경쟁 본격화…메타, AI 음악 생성기 ‘뮤진젠’ 오픈소스로 공개 (링크)
|
|
|
Something to think about ... |
|
|
보기에 너무나도 아름다운 그림, 짜임새 있는 음악, - 이제 뭐든 나보다 잘하는듯한 AI가 만든 작품을 보면, 어떤 생각과 감정이 드시나요?
'AI생성 텍스트와 이미지가 인간의 것과 대등할 수 없고, 제아무리 생성을 잘해내도 이는 '창작'이 아니다' - 한 한국인 미술평론가
지난 3월, Sony World Photography Awards 에서 독일인 사진가 Boris Eldagsen이 출품한 우승사진이 사실은 AI로 만들어졌다고 밝혀져 전례없는 충격이었죠. 생성 AI 관련 토론의 장을 열기 위한 의도가 있었다고 해요. 인간의 순수 예술적 창작분야까지 인공지능이 위협할지 생각해보는 요즘, 인간 고유의 창작 가치에 대한 홍경한 평론가가 한 언론사 AI포럼에서 나누어주신 의견을 조명해볼게요.
인간의 학습과 달리 인공지능의 학습은 일정한 데이터에서 패턴을 추출하는데 중점이 맞춰져 있고, '영감', '감정', '상상력'은 인간만이 가친 비교할 수 없는 가치라고 홍경환 평론가가 말했습니다. 홍 평론가는, AI 프로그램이 예술 도구적 역할을 가질지라도, '사진'이 맨 처음 등장하고 지금은 예술분야로 자리잡았듯이, AI도 이렇게 한가지 장르로 구축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네요. 인공지능이 기술산업부터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 영향을 주는 능력을 얻고 있는 지금, 우리 인간만이 가진 가치는 진정 무엇인지도 생각해볼수 있겠습니다.
제 1회 뉴스핌 AI 포럼에서 '생성형 AI시대에 문화계 어떻게 살아남을까' 주제로 진행된 홍경한 미술평론가의 토론 발언 참조
|
|
|
노바가 '생성 인공지능', '엔터업계', 산업을 움직이는 'IT 공룡기업' 및 세계적 'AI 법률/ 규제' 태동을 모니터링해서 따땃한 수프처럼 호로록 드실 수 있게 전달드립니다. |
|
|
오늘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수퍼토니언님의 의견이 궁금해요! 누구보다 빠르게 트렌드를 쫓는, 여러분이 찾은 뉴스도 소개하고 싶어요 :) 그러므로 피드백 --> Nova 에게 Slack 주세요 |
|
|
발행인 Nova | es-hyeminan@supetone.ai |
테스트 발행중입니다, 추후 내용이나 형식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
|
|
|